카테고리 없음

세작의 뜻(의미)과 ‘세작 매혹된 자들’의 시대적 배경

송예슬사범 2024. 1. 14. 14:13
반응형

 

드라마 ‘세작, 매혹된 자들’의 방영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2024121일 밤 9:20분 첫방송). 개인적으로 많이 기대하고 기다리는 작품인데요. 본 작품 속 주인공인 임금 이인(조정석 분)과 여인 강희수(신세경 분)바둑을 매개로 처음 만나게 됩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 송혜교와 이도현이 처음 만나게 된 매개도 바로 바둑이었는데요. 바둑 한 판에는 희노애락이 담겨져 있어 흔히 바둑을 인생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드라마 세작에서도 두 주인공의 감정과 스토리가 바둑을 통해 어떤 식으로 은유적으로 그려질지 바둑 기사로서 내심 기대가 됩니다. 드라마 방영에 앞서 제목인 세작의 의미와 드라마의 모티브가 된 시대적, 역사적 배경을 나눠보려 합니다.

 

 

세작(細作,가늘 세 지을 작)의 뜻은 무엇일까요?

 

세작(細作,가늘 세 지을 작)이란 신분을 감추고 어떤 대상의 정보를 몰래 알아내어 자신의 편에 넘겨주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으로, 쉽게 말하면 첩자입니다.

 

드라마 상에서 이인(조정석 분)은 왕이 되기 전 청나라에 인질로 사로잡혀갔다가 그곳에서 청나라의 정보를 조선에 넘겨주는 세작(첩자)노릇을 하게 되는데요. 귀국해서는 오히려 청나라의 세작(첩자)이라는 누명을 쓰고 형인 임금 이선의 의심을 사게 됩니다. 이인(조정석 분)이 왕이 오른 뒤에는 여인 강희수(신세경 분)가 임금을 제거하기 위한 세작(첩자)가 됩니다.

 

임금 이인(조정석 분)과 여인 강희수(신세경 분)가 드라마 ‘세작, 매혹된 자들’의 검은돌과 흰돌이 되어 자신의 마음을 들키지 않고 상대방을 속이는 세작 역할을 해나가며 어떤 기보(棋譜: 바둑을 두어나간 기록)를 그려가는지 살피는 것도 이 드라마를 보는 또 하나의 재미가 될 것 같습니다.

 

 

드라마 '세작, 미혹된 자들'의 인물들은 실존 인물인가요 아니면 허구인가요?

 

 

 

드라마 세작, 매혹된 자들속에 등장하는 인물인 이인, 이선, 강희수 모두 허구이자 가상의 인물입니다. 다만 극중 배경이 되는 시대는 대략 유추해볼 수 있는데요. 예고편에는 이인이 임금이 되기 전 볼모로 청나라에 사로잡혀가는 내용과 함께, 청나라 예친왕의 세작으로 의심과 오해를 사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인(진한대군, 조정석 분), 이선(조선의 왕) : 모두 허구이며 가상의 인물입니다. 다만 예친왕, 청나라, 명나라가 등장하고, 진한대군 이인(조정석 분)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는 상황을 보면 드라마가 참고한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사건은 추론이 가능합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1636년에 병자호란이 일어나 인조가 청나라 황제인 홍타이지 앞에서 굴욕적으로 머리를 땅에 세 번 찧으며 항복하게 됩니다. 이후 소현세자는 볼모로 청나라에 잡혀가게 되는데요. 소현세자는 이후 164411월에 석방되어 16452월에 귀국하게 됩니다. 인조는 백성들로부터 인망이 높은 소현세자가 자신을 왕위에서 쫓아낼 것을 두려워하여 그를 제거할 계획을 세우고 독살하게 됩니다.

 

드라마 세작은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진한대군 이인(조정석 분)은 청나라에 볼모로 사로잡혀갔다가 돌아온 뒤 청의 세작(첩자)라는 소문이 돌게 되는데요, 이러한 소문 때문에 임금인 형 이선은 동생 이인이 자신의 왕위를 노리는 것으로 의심하여 갈등이 시작됩니다.

 

 

지금까지 세작의 의미와 드라마 세작, 매혹된 자들의 모티브가 된 역사적,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조금만 기다리면 기대되는 세작, 매혹된 자들을 볼 수 있겠네요. 차후에 드라마가 방영되면 바둑기사의 눈으로 조금 더 재밌게 보실 수 있는 포인트들도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예친왕(위 드라마 속 사진에 등장하는 이름) : 청나라 귀족의 작위를 부르는 이름 중 하나. 누르하치가 1616년에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고 그의 사후에는 8번째 아들인 홍타이지가 후계자가 됩니다. 누르하치의 14번째 아들인 도르곤은 차하르 몽골족과의 전쟁에서 명성을 떨쳐서 황자들 가운데 최고의 지위인 예친왕에 봉해지게 되는데요. 도르곤 만을 예친왕으로 부르는 것이 아닌 작위의 이름(작호) 가운데 하나가 예친왕입니다. 극중 등장하는 예친왕은 시대적으로 보았을 때 ‘도르곤’으로 보입니다.

 

반응형